안녕하세요~ 오디내리 조 입니다. 믹스 할때 가장 많이 쓰이는 플러그인
4번째 순서로 익스팬더 (Expander) 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익스팬드 (Expand) 는 "확장 시키다" 라는 뜻으로서 컴프레서 (Compressor)
가 큰 소리를 압축시켜 볼륨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만드는 것이라면,
익스팬더는 반대로 큰소리와 작은소리의 간격을 벌려 주어서
큰소리와 작은소리 즉 다이나믹 레인지를 넓혀주는 기능을 합니다.
좀 더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자면, 컴프레서가 소스 내의 가장
큰소리를 압축을 하는것이라면 익스팬더는 소스내 가장 큰 소리의
아래부분 중 자신이 지정한 곳의 소리를 압축하는것 이라고
보면 됩니다. 결국 가장 큰소리와 자신이 지정한 소리가 넓혀지기
때문에 아까의 설명과 같은 내용으로 보면 됩니다.
자신이 이해하기 쉬운쪽으로 생각 하시면 될거 같구요.
위의 그림 처럼 익스펜더를 쓰게 되면 큰 소리와 작은 소리의 차이가 더 벌어지게 됩니다.
이 익스팬더는 소스내에 원치 않는 잡음이 껴 있을때 그것을 줄여 주기 위해
사용 되기도 하고, 다이나믹 레인지가 너무 없는 소스에 그것을 만들어
주기위해 사용 되기도 합니다. 그럼 스튜디오원 번들 익스팬더를 꺼내
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그림이 익스팬더의 모습이구요, 왼쪽 노브부터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쓰레숄드 (Threshold) -
문지방 이란 뜻으로서, 위의 그래프의 두개의 동그라미 중
윗부분 동그라미에 해당됩니다.
쓰레숄드로 지정한 부분부터 소리가 압축이 됩니다.
레인지 (Range) -
범위 라는 뜻으로서, 쓰레숄드로 지정한 부분부터 압축이될때
어디 까지 압축이 될지를 결정하는 노브입니다.
위 그래프의 아랫부분 동그라미에 해당되며, 그 부분 아래로는
압축이 되지 않습니다. 레인지를 0dB로 한다면 익스팬더는 작동을
하지 않게 됩니다.
레이시오 (Ratio) -
비율이라는 뜻으로서, 쓰레숄드로 정한 부분부터 압축이 될때
얼마만큼 압축이 될지를 결정하는 노브입니다.
룩어헤드 (Look Ahead)-
미리 예견하다 라는 뜻으로서 소스가 오는걸 조금 미리 예측해서
익스팬더를 작동 시킵니다. 과격한 익스팬더를 하게 될경우
이 버튼을 껏다 켯다 해보며 듣기에 잘 어울리는 쪽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소스를 틀어놓고 익스팬더를 작동 시켰을때의 모습입니다.
위에서 설명 드렸듯이, 위에 동그라미는 쓰레숄드 아래의 동그라미는
레인지라고 하였는데요, 중간에 파란점이 하나 더 생긴게 보이실겁니다.
그건 소스를 재생시켰을때 그 소스가 지나가고 있는 볼륨입니다.
현재 쓰레숄드와 레인지 사이에서 압축이 잘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바로 옆의 파란색 바는 얼마나 압축이 되고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보게 해줍니다.
이제 오른쪽의 노브를 살펴 보겟습니다.
어택 (Attack) -
소스가 쓰레숄드 값에 지나가며 압축이 될때 얼마나 빨리 압축이 될지
결정 하는 노브 입니다. 톤의 상당히 많은 영향을 주는 노브이니
귀로 잘들으며 최적의 포인트를 찾는게 중요합니다.
릴리즈 (Realease)-
풀다 라는 뜻으로서, 쓰레숄드로 정해놓은 지점의 소스가 압축이 되고
언제 그것을 풀어줄지 결정 하는 노브입니다.
역시나 잘못 설정되면 이상하게 들릴수 있으니 최적의 포인트를
찾도록 합시다.
밑의 사이드체인 (Sidechain)은 컴프레서 포스팅 때와 완전 같은 내용이 있으니
참고 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익스팬더의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영상으로 보실분들은 클릭!
'MIX TOOL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이트 (Gate) -2- (0) | 2018.01.16 |
---|---|
게이트 (Gate) -1- (0) | 2018.01.12 |
리미터 (Limiter) (0) | 2018.01.07 |
컴프레서 (Compressor) (0) | 2018.01.03 |
이퀄라이져 (Equalizer) -3- (0) | 2018.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