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IX TOOLS

이퀄라이져 (Equalizer) -3-

안녕하세요~ 오디내리 조 입니다. 

이큐 3번째 시간으로 가장 중요한 컨트롤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중요한 부분이니 초보자들은 정독해주세요~



위에 그림에 보이는게 이큐의 모든 컨트롤을 할수 있는 부분입니다.

보시면 선으로 7부분으로 나눠어져 있는게 보이실겁니다.

그럼 왼쪽 밑 부분 부터 자세히 보도록 하죠.


왼쪽위에 보시면 LC라고 써있는 부분이 보이시죠.

이건 Low Cut의 약자로서 이부분은 저음부를 없애주는 컨트롤부라고 보시면됩니다.

다른 플러그인에서는 하이패스필터 (High Pass Filter)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 뜻은 하이부분만 통과(Pass)하게 해준다 해서 결과적으로는 로우컷과 같은 뜻입니다.

전체적으로는 이 단어를 더 많이 쓰기도 하는것 같으니 두개다 외워두시기 바랍니다.



위의 그림처럼 LC라고 써져있는 밑의 부분을 클릭하시면 불이 들어오면서 로우컷 이큐가 활성화됩니다.

노브의 색깔에 빨간색이 보이실텐데 위의 그래프에도 빨간색점이 있어서 

이 노브가 어디를 컨트롤 할수있는지 쉽게 알수있게 해줍니다.

로우컷 이큐를 활성화 하자 그래프 선의 기울기가 바뀌는데, 

저 기울기 만큼의 저음을 컷 해준다는 의미입니다.



LC라고 써있는곳 옆으로가 마우스 왼쪽 클릭을 하시면 저런 메뉴가 쫘악 나옵니다.

Oct는 옥타브의 약자로서 여러분도 잘아시다시피 음계의 도~도 나 레~레 이런

거리관계를 1옥타브라고 하죠. 음계는 고유의 주파수대역을 가지고 있는데 이런

상관관계를 생각 하고 이해하시면서 로우컷 필터의 기울기를 나타내 준다고 생각하시면됩니다.

숫자가 클수록 경사도가 심해지고 더 많은 저음을 깎아 낼수 있게 해줍니다.

현재는 12dB/Oct라고 되있네요. 옥타브마다 12dB를 컷 해준다는 의미입니다.



위의 그림은 48dB/Oct로 바꿨을때의 기울기 모습입니다. 

기울기가 훨씬더 급해진것을 볼수 있습니다.

저음이 훨씬더 많이 컷 되겠죠.



이번에는 로우컷 필터 이큐의 가운데 노브를 살펴 보겠습니다.

저 노브를 돌리기위새 마우스 커서를 대고 왼쪽버튼을 클릭하면

LC라는 글씨가 빨간색으로 바뀌며 내가 만지는 부분이 이쪽 파트인것을

눈으로 알게 해줍니다. 아까도 말했듯이 로우컷 필터는 빨간색으로 나타내주고 있고,

다른부분은 다른색깔로 되있어서 자신이 만지고 있는부분이 어디인지

바로바로 알수있게 해줍니다.

이 노브위에는 Freq라고 써있는데 이건 프리퀀시 (frequency)의 약자로서 진동수라는 

뜻인데 간단하게 어느부분의 주파수까지 저음을 컷해주느냐를 결정하는 노브입니다.



75.0Hz부분까지 48dB/Oct의 기울기로 저음을 컷 한 모습



733 Hz부분까지 48dB/Oct의 기울기로 저음을 컷 한 모습




이제 오른쪽 끝의 부분으로 가보겠습니다.

눈치 빠르신분들은 벌써 아실텐데 이부분은 로우컷필터의

완전 반대 부분으로서 하이컷 필터(High Cut Filter) 또는 

로우패스 (Low Pass Filter)라고 합니다. 용어는 아주중요하니

꼭 외워두시기 바랍니다. 아까 설명했던 로우컷 패스 필터와 정반대 부분으로서

고음부분을 없애주는 부분이라고 생각하면 되고, 컨트롤 하는 방법은 완전 같으니

넘어 가도록 하겠습니다.



이제 양쪽 아래부분 끝을 제외한 중간 5개의 부분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5개의 부분은 가운데 부분 3개와 위쪽 끝 두개로 나뉘어 보시면 편한데

위 부분 왼쪽을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위그림의 LF는 로우 프리퀀시 (Low frequency)의 약자로서 저음부의 컷과 부스트를

맞고 있는 부분입니다.

아까 설명했던 부분과 다 같지만 조금 다른점이 오른쪽위에 

Peaking 이라고 선택되어 있는 부분입니다.

아까 로우컷 필터에서는 옥타브당의 기울기였다면 

이 메뉴는 부스트와 컷을 할때의 이큐 종류라고 보시면 되겠는데요



이 메뉴에 마우스를 갔다 데고 좌클릭을 하면 위 그림의 메뉴가 나옵니다.

그럼 피킹 (Peaking) 부터 설명을 하겠습니다.

피크 (Peak)란  뽀족한것, (산의)봉우리 등의 뜻을 가지고 있는데,

무언가가 뾰족히 나온모양을 뜻합니다. 

그리고 그 밑에는 Shelf라고 있고 6dB부터 24dB까지의 선택이 있는데 

Shelf의 뜻은 선반입니다. 물건을 올려놓는 선반과 닮았다고 해서 붙혀진 이름입니다.

6dB부터 24dB까지의 선택은 이 Shelf 이큐 타입의 기울기를 말합니다.



위의 그림처럼 LF를 선택하고 110Hz의 주파수 대역을 13.92dB만큼 부스트 한 모양입니다.

위로 뾰족하게 올라간 모양을 따와서 피킹 (Peaking)이란 이름이 붙게됩니다. 

다른 이름으로 종과 모양이 닮았다고 해서 벨 (Bell) 타입 이라고도 많이 쓰이니

이거도 꼭 외워두시기 바랍니다.



Shelf 6dB로 선택하고 204Hz지점을 12dB의 게인을 부스트한 모습 

선반 모양처럼 선택 지점부터 끝까지 

점차 부스트가 되는 모습을 볼수있다



Shelf 24dB로 선택하고 204Hz지점을 12dB의 게인을 부스트한 모습 

기울기가 급해진것을 알수있다.



그리고 3개의 노브 설명을 하겠습니다. 제일 앞에있는 Q값을 설명하기전에

Gain은 선택 주파수의 볼륨을 조정하는 노브로서 최대 18dB에서 최소 -18dB까지 

조정이 가능합니다. 그옆의 Freq 노브는 아까 설명했듯이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는

노브입니다. 그럼 Q 노브를 알아보겠습니다.

이 Q노브는 피크(peak) 타입 이큐에서만 작동을 하는데, 그 뾰족한 범위를 지정하는거라

보면 되겠습니다. Q값이 높아지면 더 뾰족해지고, 낮아 지면 뭉툭하게 됩니다.

그림으로 보면 쉬울거에요



Q값을 12까지 올리고 204Hz 지점을 16.32dB 올린경우

피크모양이 매우 뾰족해 진걸 알수있죠



Q값을 0.53까지 낮추고 204Hz 지점을 16.32dB 올린경우

피크모양이 굉장이 완만해진게 보입니다.


*Q 노브는 밴드위드 (bandwidth)란 말로도 굉장히 많이 쓰이니 꼭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여기까지 이 소프트웨어 이큐가 거의 대부분의 설명이 끝났구요

나머지 가운데 남은 3개파트는 각각 MF = Middle frequency(중음 주파수 대역), 

LMF = Low Middle  frequency(중저음 주파수 대역), 

HMF = Hige Middle frequency(중고음 주파수 대역)을 뜻하고

각각의 밴드는 Peak타입의 종류로만 사용하실수 있습니다.


그럼 여기까지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영상으로 보실 분은 클릭





'MIX TOOL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익스팬더 (Expander)  (0) 2018.01.10
리미터 (Limiter)  (0) 2018.01.07
컴프레서 (Compressor)  (0) 2018.01.03
이퀄라이져 (Equalizer) -2-  (0) 2017.12.21
이퀄라이져 (Equalizer) -1-  (0) 2017.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