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튜디오 원

[홈레코딩] 스튜디오 원 기초가이드 -9- 송페이지 (Song Page) 송 (Song)메뉴 안녕하세요~ 오디내리 조 입니다. 이번 포스팅 에서는 녹음된 트랙들을 하나로 뭉쳐 MP3나 Wav로 변환하거나, 마스터링 툴인 프로젝트 페이지로 이동을 한다던지 현재 송페이지에서 안쓰는 파일들을 정리 하거나 잃어버린 파일들을 찾아주고 위치 지정을 해주는 등등.. 송 (Song)메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Import File - wav, mp3, aiff등의 오디오 파일을 불러온다. 실행하면 폴더를 찾는 화면이 뜨게 되고 mp3나 wav등을 찾아 더블클릭하면 현재 화면으로 불러와 줍니다. 참고로 작업중이던 Song File을 불러오기 위해서는 File 메뉴의 Open을 이용하면 됩니다. Export Mixdown - 작업한 Song을 오디오 파일로 생성한다. Export Stems - So.. 더보기
[홈레코딩]스튜디오 원 기초가이드 -8- 송페이지(Song Page) 에디트(Edit) 메뉴 안녕하세요~ 오디내리 조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녹음된 이벤트를 자르거나 붙이고, 복사를 하기도 하고 줄이거나 늘이기도 하는 등등 편집 명령어인 에디트 (Edi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예제로 쓸 이벤트 하나를 불러오고, 위 사진처럼 에디트 (Edit) 메뉴를 열어봅니다. 그럼 하나하나 살펴보도록 할까요. Undo - 바로전에 실행한 조작을 되돌린다. 설명을 위해 사이즈를 반 줄여 보았습니다. 위의 사진처럼 Undo명령어 옆에 Resize Event라고 글이 생긴 걸 알 수 있습니다. 해석하면 사이즈를 되돌려 놓다 라는 뜻으로서 클릭하면 이벤트가 자르기 전의 상태로 돌아가게 되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이벤트에 어떤 편집을 하면, Undo옆에 그에 맞는 글이 생기며 클릭 시 그 전 상태로 되돌려 놓습니.. 더보기
[홈레코딩] 스튜디오 원 기초 가이드 -6- 컴퓨터 키보드 자판을 마스터 건반처럼 이용하기 안녕하세요~ 오디내리 조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스튜디오 원에서 가상 악기를 이용할때 마스터 건반 없을때, 컴퓨터 키보드로 그 기능을 대체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위의 사진 처럼 Studio One - Options...으로 들어갑니다. 그후 상단의 External Devices를 선택후 왼쪽하단의 Add...을 눌러줍니다. 그 후 왼쪽 상단의 New Keyboard를 선택후, 왼쪽 목록중에 PreSonus를 선택해줍니다. 그러면 윗 사진처럼 그 하위 목록이 나열되게 됩니다. 그 중에서 Qwerty Keyboard를 선택해주고 오른쪽 하단의 OK를 눌러줍니다. 컴퓨터 자판의 Qwerty를 건반처럼 쓴다고 해서 붙혀진 이름입니다. 그럼 위의 사진처럼 외장장비 목록에 Qwerty Keyboard가 지.. 더보기
[홈레코딩] 스튜디오 원 기초 가이드 -5- 녹음한 파일 MP3, Wav로 변환하기 안녕하세요~ 오디내리 조 입니다. 이번 포스팅 에서는 스튜디오 원 송페이지 에서 녹음한 파일을 음악 플레이어에서 들을수 있게 MP3나 Wav파일로 바꾸는 방법과 주의사항에 대해 알려 드릴까 합니다. 우선 위의 사진은 제가 녹음한 트랙들인데 위의 2개가 MR 맨 아래가 보컬 입니다. 이렇게 녹음을 완료 한후 듣기 편하게 MP3로 변환을 하기위해선 먼저 구간을 지정해 줘야합니다. 이 구간을 지정 안해줘서 변환을 해도 재생이 안되는 실수를 하는 분들이 은근 많더라구요. 맨 윗 트랙의 윗 부분을 보시면 회색으로 구간 설정이 되있는게 보이실 겁니다. 왼쪽 끝에 마우스를 가져가면 길이를 줄였다 늘였다 할수있구요, 오른쪽 끝쪽도 마찬가지 입니다. 또 하나의 방법으로는 단축키를 쓰는 방법으로서, 구간의 시작을 하고 싶.. 더보기
[홈레코딩] 스튜디오 원 기초 가이드 -7- 송 페이지(Song Page) 파일 (File) 메뉴 안녕하세요~ 오디내리 조 입니다. 이제 작곡과 믹싱, 편집을 할수 있는 송 페이지로 (Song Page)로 들어와 명령어와 메뉴를 하나하나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첫번째로 파일 (File)메뉴를 봐 보겠습니다. 우선 스타트 페이지에서 Create a new Song을 클릭해 송 페이지로 들어 갑니다. 송 페이지의 왼쪽 상단에 명령어 메뉴들 중에 File을 눌러주면 위와 같은 리스트가 나오게 됩니다. 왼쪽은 제목 오른쪽은 단축키를 나타내 줍니다. 하나하나 보도록 하겠습니다. New Song - 새로운 Song 파일을 생성한다. New Project - 새로운 Project 파일을 생성한다. Open... - 작업한 파일을 불러온다. Close - 현재 작업중인 파일을 닫는다. Close All - 현재 .. 더보기
[홈레코딩] 스튜디오 원 기초 가이드 -4- 스타트 페이지 개요 안녕하세요~ 오디내리 조 입니다. 스튜디오 원 기초 가이드 4번째 시간 에서는 스타트 페이지 개요에 대해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스튜디오 원을 실행하면 오디오 인터페이스, 관련 프로그램, 플러그인 등을 탐색하는 화면이 뜨구요. 탐색이 끝나면 위의 사진처럼 스타트 페이지가 열리게 됩니다. 그럼 하나하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왼쪽 위부분을 보시면 File, View, Studio One, Help 이렇게 써져있는데, 이부분은 앞으로 자세히 다룰거라 이번 포스팅 에서는 패스 합니다. 그 밑의 구름 모양이 보이실겁니다. 여기는 사운드 클라우드 라고 하는 사이트를 스튜디오 원과 연결을 시켜주어서 스튜디오 원에서 작업한 음원들을 바로 사운드 클라우드에 업로드 하게끔 해주는 편리한 기능 입니다. 전 사운.. 더보기
[홈레코딩] 스튜디오 원 기초 가이드 -3- 마스터 키보드 설정 안녕 하세요~ 오디내리 조 입니다. 지난 포스팅 때 오디오 인터페이스 설정에 대해 다뤄봤구요, 이번에는 마스터 키보드 및 신디사이저, 미디 컨트롤러, 음원을 탑재한 사운드 모듈 등 외장 장비를 스튜디오 원에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우선 타이틀 화면 왼쪽 상단에 있는 메뉴에서 Studio One을 선택한 후 아래로 메뉴가 쫙 나열 되면 Option으로 들어가 줍니다. 오른쪽 네번째에 있는 External Devices(외장장비)를 선택 해 줍니다. 설정된 외장 장비가 있다면 목록에 표시가 되겠지만, 저는 사용하는게 없어서 아무것도 표시가 되지 않고있습니다. 외장장비가 컴퓨터에 연결되었다면, 왼쪽하단의 Add...을 클릭해줍니다. 그러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구요, 왼쪽에 여러가지 회사이름들.. 더보기
[홈레코딩] 스튜디오 원 기초 가이드 -2- 오디오 인터페이스 설정 안녕하세요~ 오디내리 조 입니다. 이번엔 오디오 인터페이스 설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지난 포스팅때 오디오 인터페이스 대용으로 Asio4all이란 파일을 사용해도 된다고 하였는데요, 콘덴서 마이크를 사용할때 필요한 팬텀파워 라던지, 여러개의 입력을 동시에 받아 녹음을 한다던지, 두개의 라인아웃을 통해 모니터 스피커 연결을 하는 등등,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녹음을 하는데 있어서 거의 필수의 장비라고 할수 있겠습니다. 우선 설정을 하기에 앞서서 레이턴시 (Latency) 라는 단어의 뜻을 알고 가야하는데 레이턴시 (Latency)란, 아날로그 신호를 컴퓨터가 연산을 해서 디지털 신호로 바꾸고 그 소리를 모니터 시스템을 통해 나오게 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딜레이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첫번째 목적은 이 레.. 더보기
[홈레코딩] 스튜디오 원 기초 가이드 -1- 녹음 준비 안녕하세요~ 오디내리 조 입니다. 2018년 블랙 프라이데이 주간에 스튜디오 원 4를 무려 50프로나 할인 한다는 소식에 저도 하나 질러 버렸습니다. 저와 더불어 주변 지인들도 스튜디오 원으로 많이들 넘어왔는데요, 아무래도 처음 사용하시는 친구들은 많이들 햇갈려 하더라구요. 그래서 스튜디오 원 가이드 포스팅을 시작해 볼까 합니다. 초보자들도 보면 바로 따라 하며 배울수 있도록 완전 기초적인 부분부터 포스팅 할거니 공부해서 스튜디오 원을 마스터 하기 바랍니다. 다른 메뉴들을 알아보기 전에 우선 녹음을 하는 방법을 알아두고 가는게 제일 좋을거 같아서 첫번째 포스팅으로는 녹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스튜디오 원을 설치하는 방법은 그다지 어렵지 않으니 패스 하겠습니다. 스튜디오 원이 설치가 잘 되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