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io One Guide

[홈레코딩] 스튜디오 원 기초가이드 -9- 송페이지 (Song Page) 송 (Song)메뉴

안녕하세요~ 오디내리 조 입니다. 이번 포스팅 에서는 녹음된 트랙들을 하나로 뭉쳐 MP3나 Wav로 변환하거나, 마스터링 툴인 프로젝트 페이지로 이동을 한다던지 현재 송페이지에서 안쓰는 파일들을 정리 하거나 잃어버린 파일들을 찾아주고 위치 지정을 해주는 등등.. 송 (Song)메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Import File - wav, mp3, aiff등의 오디오 파일을 불러온다. 실행하면 폴더를 찾는 화면이 뜨게 되고 mp3나 wav등을 찾아 더블클릭하면 현재 화면으로 불러와 줍니다. 참고로 작업중이던 Song File을 불러오기 위해서는 File 메뉴의 Open을 이용하면 됩니다.

 

Export Mixdown - 작업한 Song을 오디오 파일로 생성한다.

 

Export Stems - Song에서 작업한 각각의 트랙들을 개별적으로 Export 한다.

 

위의 두가지 메뉴는 Song메뉴에서 가장 중요하고 많이 쓰이게 되는 명령어 들이라 따로 자세히 포스팅을 해두었습니다. 스튜디오 원 기초가이드 5번째 포스팅을 참고 해 주세요~

 

Update Mastering File -  Song에서 작업한 최종결과 오디오 마스터 파일을 업데이트한다. 

 

 

이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서 스타트 페이지로 간 다음 Create a new Project를 클릭하고 새로운 프로젝트 페이지를 열어줍니다.

 

 

새 프로젝트 페이지가 열렸다면, 오른쪽 하단의 브라우즈를 눌러 현재 송페이지에서 작업중인 송파일을 찾아 트랙 라인에 드래그를 해 열어줍니다. 그러면 마스터링 파일을 업데이트 하겠냐는 창이 뜨게 됩니다. 왼쪽 상단과 하단의 빨간색은 아직 마스터링 파일이 업데이트 되지 않았음을 의미합니다.

 

 

Ok를 누르면 마스터링 파일로 업데이트 되는게 보이구요

 

 

업데이트가 되었다는 글이 뜨게 됩니다.

 

 

다시 프로젝트 페이지로 와보면 빨간색이 없어지고 송페이지와 프로젝트 페이지가 연동 되었다는걸 알수 있습니다.

 

송페이지의 Update Mastering File 명령어는 송페이지와 프로젝트 페이지가 연계가 안되서 아까 그 두곳에 빨간불이 들어올때, 실행을 해줘 두페이지를 연계 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Add to Project - 해당 Song의 오디오 마스터 파일을 현재 오픈되어 있는 또는 새로운 Project Page에 더한다.

 

 

이 명령어 역시 송파일과 프로젝트 파일을 연계하기 위함 입니다. 실행시 송 파일을 미리 열려있던 프로젝트 파일중 하나에 업데이트를 하거나,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들어 업데이트 시키기도 합니다.

 

Locate Missing Files - 잃어버린 오디오 파일이 있는 위치를 저장한다.

 

송 페이지에서 사용한 오디오 파일들은 기본적으로 같은 폴더에 배치 되게 됩니다. 그 폴더의 위치가 바뀌거나 이름이 바뀌었을 경우 송페이지에서는 그 오디오 파일을 "잃어버렸다"라고 뜨게 되는데 그때 배치해주는 명령어 입니다.

 

 

설명을 위해 히어포유 폴더에서 송파일을 재외한 모든 폴더를 다른 곳으로 이동시켜 보겠습니다.

 

 

송파일이 열리면서 32개의 파일을 잃어버렸다고 나옵니다. 오른쪽과 하단에 있는 버튼들로 파일의 위치를 다시 배치시켜 주면 되는데 명령어를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Accept - 해당 파일을 찾아 Accept한다.

 

Locate File - 파일 위치를 찾아 지정한다.

 

Remove File - 파일을 삭제한다.

 

Search in Folder - 폴더별로 검색한다.

 

Cancel Serch - 검색을 취소한다.

 

저 같은 경우에는 폴더별로 검색해서 파일을 찾는게 조금 더 수월 했습니다. 각자 취향에 맞춰 사용하시면 될듯합니다.

 

Locate Missing Devices - Song에서 사용되었던 외장 장비를 찾지 못할 때 재배치시켜 준다.

 

Remove Unused Files - 현재 Song에 사용되지 않는 오디오 파일들을 삭제한다.

 

이 기능은 매우 중요하고 자주 실행해줘야 할 기능으로, 송 페이지에서 이벤트를 지웠다 하더라도 그 파일은 완전히 삭제가 되는게 아니라 Pool이라고 하는곳에 저장되게 됩니다. 예를 들어 보컬 녹음을 할때 마음에 들때 까지 계속하며 전 테이크를 지우고 지우고 할텐데, 그게 Pool이란 곳에 쌓여 사용도 하지않는데 컴퓨터 하드용량을 차지하게 됩니다. 녹음이 끝났다면 전에 잘못 녹음한 파일들은 필요없게 되죠. 그래서 이 명령어를 실행시켜 송 페이지 화면상에 사용하고 있는 이벤트를 재외하고는 진짜로 지워 주는 겁니다.

 

 

설명을 위해 트랙을 하나 만들고 3번 녹음을 하고 지워 봤습니다. 그 후  Remove Unused Files를 실행하면 송 페이지 화면상에서 사용하고 있지 않는 3개의 wav파일을 지울거냐는 창이 뜨게 됩니다. Yes를 누르면 Pool에 존재하고 있던 3개의 파일들이 지워지게 됩니다. 하지만 Undo를 통해 살려낼수는 있구요, 하단의 Delete Files permanently에 체크를 해주면 Undo를 해도 살려낼수 없게 완전히 지워지게 됩니다.

 

Copy External Files - Song에서 사용되고 있는 비디오 파일들을 해당 Song Folder안의 video 폴더에 복사한다.

 

 

스튜디오 원에서는 비디오 파일도 재생을 할수있습니다. 파일을 트랙리스트에 드래그 앤 드롭을 한 후 상단에 필름모양의 아이콘을 누르면 비디오를 볼수있게 되죠. Copy External Files 명령어는 송페이지에서 재생하고 있는 비디오 파일을 해당 Song Folder안의 Video 폴더에 복사 해 줍니다.

 

 

재생했던 비디오가 해당폴더의 Video폴더에 저장된게 보입니다.

 

Show Media Folder in Explorer - Media 폴더를 윈도우 탐색기에서 연다.

 

Song Setup - 현재 작업하는 Song에 대한 설정을 셋업한다.

 

현재 작업하는 Song Document에 대한 세밀한 설정을 할 수 있는 곳입니다. 크게 3개의 카테고리로 작업에 필요한 기본적인 설정 General, 최종 결과물에 기입되는 해당 곡의 정보 Meta Information, 그리고 Song Document의 오디오 In/Out 개수를 설정하는 I/O Setup으로 나뉩니다.

 

General

 

 

Sample Rate - 샘플레이트를 정한다. 참고로 일반적으로 듣는 CD나 디지털 음원은 44.1Khz이다.

 

Resoulution - 다이내믹에 대한 해상도를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Daw에서 작업하는 환경으로는 24비트가 디폴트 값이다.

 

위의 두 셋팅은 정말 중요한 것들이라 전 포스팅에 자세하게 다뤄 봤습니다. 기초가이드 -2- 오디오 인터페이스 설정 편을 참고해 주세요~

 

Frame Rate - 영상의 프레임 값을 정한다.

 

Bar Offset - 마디의 단위를 나타내주는 Bar의 숫자를 앞뒤로 밀어주거나 당길때 쓰인다.

 

 

바오프셋을 10으로 지정하고 Apply를 클릭하면 상단위 바 단위가 10증가 하게 됩니다.

 

Timebase - 메인 화면의 타임 형태를 정한다.

 

 

Bars가 디폴트값이고, 초 단위 (Seconds), 샘플 단위 (Samples), 프레임 단위 (Frames) 중 하나로 송 페이지 화면 상단의 길이 단위를 표현해 줍니다.

 

Display Mode - 이 기능은 스튜디오 원 4에서 업데이트 된 기능이구요, 밑에서 설명할 Stretch audio files to Song tempo 체크박스에 체크가 되있는 경우 노래의 탬포를 바꿔주면 트랙의 이벤트도 그에 맞게 늘여지거나 줄여집니다. 그때의 디스플레이 기준을 결정하는 거라고 보면 됩니다.

 

- Time-Linear - 원래 우리가 항상 봐왔던 모드로서, 곡 탬포를 바꿔 이벤트가 줄여지거나 늘려질때 시간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가 변경됩니다. 예를 들어 100탬포의 곡을 200탬포로 늘였을때 커서가 움직이는 속도는 그대로지만 이벤트 파형이 짧아지는 모습으로 보입니다.

 

- Beat-Linear - 스튜디오 원 4에서 생긴 모드로서, 100탬포의 곡을 200탬포로 늘였을때 이벤트 파형은 변하지 않지만 커서가 움직이는 속도가 2배로 빨라지게 됨으로서 탬포가 빨라진걸 알게끔 해줍니다.

 

 

탬포 100인 상태의 이벤트를 위 사진의 크기로 맞춰놓고

 

 

Time-Linear의 모드로 탬포를 200으로 올려주면 파형이 짧아집니다.

 

 

Beat-Linear모드로 선택하고 200탬포로 높여줬을 경우 이벤트의 모양은 그대로에 커서 움직이는 속도가 2배가 됩니다.

 

Song Start / End - Song Document가 갖고 있는 기본적인 처음과 끝의 길이를 정한다. Start / End 마커로 표현된다.

 

 

설명을 위해 30~50으로 Start ~ End를 지정하고 Apply를 클릭합니다.

 

 

30 / 50에 스타트와 엔드 마커가 생긴것이 보입니다.

 

Stretch audio files to Song tempo - 외부에서 불러오는 오디오파일을 Song Tempo에 맞게 길이를 자동 조절한다.

 

 

체크를 하지 않을 경우 200탬포와 상단의 바 모양에 집중해 주세요

 

 

100탬포로 바꿨을때 느려지는 탬포에 상단의 바도 넓어진게 보이지만 이벤트 파형의 모습은 변하지를 않습니다.

 

 

변화를 보기위해 체크를 한후 250템포로 바꿔 봤습니다. 파형이 템포에 맞게 빨라진게 눈으로도 보입니다.

 

Include effcts when updating mastering file - Update master file 실행시 사용된 이펙트를 적용하여 Mixdown한다.

 

Meta Information

 

 

Title - 곡의 제목을 기입한다.

 

Artist - 아티스트를 기입한다.

 

Album - 앨범명을 기입한다.

 

Comment - 곡에 대한 간단한 코멘트를 기입한다.

 

Songwriter - Song 멜로디 작곡가를 기입한다.

 

Composer - 작곡가를 기입한다.

 

Arranger - 편곡가를 기입한다.

 

Genre - 장르를 기입한다.

 

Year - 연도를 기입한다.

 

Website - 웹사이트를 기입한다.

 

Copyright - 해당 곡의 저작정보를 기입한다.

 

Pop-up when Song opens - Song을 Open할 때 Song Information 팝업을 뜨게 한다.

 

Show Copyright Notice - Song을 Open할 때 저작정보에 대한 경고 팝업을 뜨게 한다.

 

 

위의 마지막 2가지를 체크박스에서 클릭 해 놓으면 송페이지를 오픈할때 저작정보와 송 정보에 대한 창이 처음에 뜨게 된다.

 

 

Audio I/O Setup에서는 스튜디오 원의 인풋과 아웃풋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아웃풋은 스튜디오 원 안에서 우리가 원하는 만큼 생성해 낼 수 있습니다. 그렇게 생성된 여러 개의 아웃풋은 컴퓨터에 장착된 사운드카드의 물리적 아웃풋에 각각 연결할 수 있지만 때로는 하나의 물리적 아웃풋에 할당할 수도 있습니다. 후자의 경우에는 소프트웨어상에서는 여러 개의 아웃풋이지만 그 모든 아웃풋이 사운드카드의 하나의 아웃풋으로 출력되는 것이지요. 인풋은 가상에 대한 개념이 없습니다. 들어오는 녹음 소스가 실제적 소스이기에 물리적 인풋만이 적용됩니다.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살펴보면 인풋 단자와 아웃풋 단자가 있습니다. 인풋은 오디오 인터페이스 입장에서 외부소리 즉 마이크, 기타와 같은 소리를 입력 받는 단자이고 아웃풋은 오디오인터페이스 입장에서 소리를 출력하는 곳입니다. 소리를 출력하는 아웃풋 단자에 스피커나 헤드폰을 연결하게 되면 우리가 듣는 소리가 재생되게 되는 것이지요. 명령어를 하나하나 살펴 보겠습니다.

 

Input

 

Add (mono) - 모노 인풋을 더한다.

 

Add (Stereo) - 스테레오 인풋을 더한다.

 

Remove - 선택된 인풋을 제거한다.

 

Make Default - 현재 설정된 환경을 디폴트로 만든다.

 

 

Output

 

Add (mono) - 모노 아웃풋을 더한다.

 

Add (stereo) - 스테레오 아웃풋을 더한다.

 

Remove - 선택된 아웃풋을 제거한다.

 

Make Default - 현재 설정된 환경을 디폴트로 만든다.

 

Audition - 브라우저에서 오디오 음원을 Preview (미리듣기) 할 아웃풋을 정한다.

 

Cue mix - 녹음 중 모니터링 용도로 출력되는 아웃풋을 선택한다.

 

 

 

아웃풋 셋업에서는 추가로 Sub Output을 생성할수 있습니다.

 

Song Information - Meta Information에 기록한 곡에 대한 정보 팝업이 뜬다.

 

이번 포스팅은 여기까지 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