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디내리 조 입니다. 2018년 블랙 프라이데이 주간에 스튜디오 원 4를 무려 50프로나 할인 한다는 소식에 저도 하나 질러 버렸습니다. 저와 더불어 주변 지인들도 스튜디오 원으로 많이들 넘어왔는데요, 아무래도 처음 사용하시는 친구들은 많이들 햇갈려 하더라구요. 그래서 스튜디오 원 가이드 포스팅을 시작해 볼까 합니다. 초보자들도 보면 바로 따라 하며 배울수 있도록 완전 기초적인 부분부터 포스팅 할거니 공부해서 스튜디오 원을 마스터 하기 바랍니다.
다른 메뉴들을 알아보기 전에 우선 녹음을 하는 방법을 알아두고 가는게 제일 좋을거 같아서 첫번째 포스팅으로는 녹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스튜디오 원을 설치하는 방법은 그다지 어렵지 않으니 패스 하겠습니다.
스튜디오 원이 설치가 잘 되었다면 저렇게 생긴 로고가 있을거구요. 더블 클릭 해줍시다.
그러면 컴퓨터에 설치된 플러그 인을 스캐닝 해서 찾아 주는 작업을 자동으로 하게 됩니다.
스튜디오 원에서 쓸수 있는 프로그램의 목록의 리스트가 주욱 나오고 있네요
플러그인 스캐닝이 끝났다면 이런 화면으로 시작을 하게 됩니다. 녹음을 하기 위해 스튜디오 원을 구입한 유저라면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계실거 라고 생각이 들고요, 만약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없는 유저분들이라면 Asio4all이란 파일을 인터넷에서 다운 받아 쓰셔도 괜찮습니다.
위의 주소에서 다운 받으실수 있구요. 자 그럼 제일 먼저 해줘야 할것은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스튜디오 원에 지정해주는 일인데요, 메인 화면 중앙 하단 쪽에 보시면 Configure Audio Device 라고 써져있는 부분이 보이실 텐데요, 그곳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위의 그림의 화면이 뜨게 됩니다. 자세한 메뉴의 설명은 나중에 차근차근 하도록 하구요, Audio Setup 메뉴의 Audio Device 메뉴를 선택하고 (아마 자동으로 선택되있을것입니다. ) 제 화면엔 이미 Yamaha Steinberg USB가 지정이 되있구요, 처음 들어오신분들은 그곳을 클릭해 봅시다. 가지고 계신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드라이브가 잘 설치 되었다면 목록이 뜰 것 입니다.
위의 사진처럼 목록이 뜨는데, 소프트웨어인 Asio4all도 잡혀있는 모습이 보이네요. 자신의 오디오 인터페이스 이름과 맞아 떨어지는 것을 고르고 OK를 누르면 스튜디오 원 에서 그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게 됩니다.
다시 메인 화면으로 돌아와 왼쪽 상단의 Create a new Song을 클릭 해줍니다.
그럼 위의 사진과 같은 화면이 뜨게 되구요, 맨위의 Song Title에 쓰고 싶은 제목을 쓰고, 그 밑의 메뉴에서 저장경로를 지정해 줍니다. 그 밑의 메뉴들은 다음 포스팅때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구요, Tempo메뉴에서 자신이 정해놓은 탬포가 있으면 써주고, 그밑의 Time Signature 메뉴에서 박자를 정해줍니다. 그리고 OK를 눌러 줍니다.
그러면 위의 같은 화면이 뜨는걸 알수있구요, 왼쪽의 빈 공간에 마우스 우클릭을 해줍니다.
그럼 위의 사진의 메뉴가 나열 되구요, 마이크를 이용해 보컬을 녹음한다거나, 라인을 연결해 기타를 치거나 한다면 Add Audio Track을 Mono와 Stereo를 선택해서 골라주면 되구요, 컴퓨터에 설치된 가상 악기를 이용한다면, Add Instrument Track을 선택합니다.
Add Audio Track에서 Mono로 선택해서 트랙을 만든 모습이구요.
트랙의 Input이라고 적혀져있는 곳을 마우스 좌클릭을 하면 인풋의 목록이 뜨게 됩니다. 제 오디오 인터페이스에는 2개의 인풋이 있기 때문에 저렇게 보이구요, 인풋의 갯수가 많은 오디오 인터페이스 라면 더 많은 목록이 뜨게 될 것입니다. 자신이 연결한 마이크 케이블이나 라인과 인풋을 잘 맞춰서 선택해 주시면 됩니다.
그 다음엔 녹음 모양의 버튼을 누르면 빨갛게 변하게 되는데, 녹음 준비가 완료 되었다는 걸 뜻합니다. 오른쪽의 스피커 모양을 클릭하면 하늘색 불이 들어오고 자신이 녹음하는 소리를 모니터 할수 있게 해줍니다.
그 후 화면 하단의 동그란 녹음 버튼을 클릭하거나, 키보드의 NumPad의 *버튼을 눌러주면 재생이 되며 녹음이 시작됩니다.
그리고 스톱을 하면 위의 사진 처럼 녹음된 소스의 파형이 생기게 됩니다.
이번 포스팅 녹음 준비는 여기까지 입니다. 감사합니다~
'Studio One Gu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홈레코딩] 스튜디오 원 기초 가이드 -5- 녹음한 파일 MP3, Wav로 변환하기 (1) | 2019.03.11 |
---|---|
[홈레코딩] 스튜디오 원 기초 가이드 -7- 송 페이지(Song Page) 파일 (File) 메뉴 (0) | 2019.03.04 |
[홈레코딩] 스튜디오 원 기초 가이드 -4- 스타트 페이지 개요 (0) | 2019.02.21 |
[홈레코딩] 스튜디오 원 기초 가이드 -3- 마스터 키보드 설정 (1) | 2019.02.20 |
[홈레코딩] 스튜디오 원 기초 가이드 -2- 오디오 인터페이스 설정 (2) | 2019.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