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디내리 조 입니다. 스튜디오 원 기초 가이드 4번째 시간 에서는 스타트 페이지 개요에 대해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스튜디오 원을 실행하면 오디오 인터페이스, 관련 프로그램, 플러그인 등을 탐색하는 화면이 뜨구요.
탐색이 끝나면 위의 사진처럼 스타트 페이지가 열리게 됩니다. 그럼 하나하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왼쪽 위부분을 보시면 File, View, Studio One, Help 이렇게 써져있는데, 이부분은 앞으로 자세히 다룰거라 이번 포스팅 에서는 패스 합니다. 그 밑의 구름 모양이 보이실겁니다. 여기는 사운드 클라우드 라고 하는 사이트를 스튜디오 원과 연결을 시켜주어서 스튜디오 원에서 작업한 음원들을 바로 사운드 클라우드에 업로드 하게끔 해주는 편리한 기능 입니다. 전 사운드 클라우드를 사용하지 않아서 해본적은 없구요, 필요하신 분들은 한번씩 이용 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옆의 그림은 메크로 기능 아이콘인데, 스튜디오 원의 메크로는 자기가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들을 메크로로 만들어 작업을 할때 좀 더 편리하게 할수 있게 해주는 기능 입니다. 예를 들어 트랙의 볼륨을 -3dB 낮추는걸 자주 이용한다고 할때 보통은 페이더를 이용해 낮추거나 키보드를 이용해 -3dB를 적어서 낮출수가 있겠죠 하지만 메크로를 이용한다면 -3dB라는 버튼을 만들어 그 버튼만 누르면 바로 -3dB를 할수있는 그런 편리한 기능입니다. 이 기능은 앞으로 더 자세히 다룰 예정이니 여기선 요정도만 알고 넘어가겠습니다.
이제 중앙의 상단으로 넘어 가겠습니다. 우선 윗부분에 스튜디오 원 타이틀이 보이구요 그 아래 3개가 아이콘과 함께 보이네요.
Create a new Song - 새로운 곡을 만든다는 뜻으로, 작곡 및 편집, 믹싱등을 하는 페이지를 만들어 주는 명령어 입니다.
Create a new Project - 프로젝트를 만든다는 뜻으로, 작업한 음원들을 상업음원으로 발매하기 위한 톤정리와 볼륨정리, CD로 굽기전 트랙간의 간격 볼륨등을 맞춰주는 마스터링 작업을 하는 페이지를 만들어 주는 명령어 입니다.
Open an existing Document - 이미 만들어져 있는 작업물 파일을 열어줄때 쓴느 명령어 입니다.
그 아래 왼쪽 부분을 보면 윗 사진 같은 부분이 있습니다. 이부분은 최근에 작업했던 리스트들을 보여주는 곳으로서, 작업하고 있던 파일을 빠르게 불러올수 있는 곳입니다.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Recent Files - 최근 작업한 모든 파일의 목록을 보여 줍니다.
Songs - 최근 작업한 Song파일의 목록을 보여 줍니다.
Projects - 최근 작업한 Project파일의 목록을 보여 줍니다.
화면에 정 중앙을 보시면 윗 사진 같은 곳이 나오구요, 작업한 아티스트의 프로필과 사진 음악의 장르 홈페이지등을 설정할수 있는 곳입니다. 자세히 하나씩 살펴 보겠습니다.
Artist Profile - 스튜디오 원을 사용해 작업을 하는 사람의 사진, 이름 장르 홈페이지를 등록해서 음원을 추출할때 정보를 삽입해 줍니다. 윗 부분에 ... 이라고 되있는 부분을 클릭하시면 원하는 이미지를 첨부할수 있고 X를 누르면 그 이미지를 삭제 할수있습니다. 사진에 바로 밑에 써져 있는 Ordinary Joe라고 써져 있는 부분은 뮤지션 이름, Pop이라고 써져있는 부분은 이름의 장르, O-JOE.COM이라고 써져 있는 부분은 홈페이지 이며, 언제든 수정이 가능 합니다.
그 바로 아래 Yamaha Steinberg USB라고 적혀져 있는 부분은 자신이 설치하고 등록한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이름 입니다. 그 바로 아래 Configure Audio Device란 곳을 클릭하면 전 포스팅에서 다루었던 오디오 인터페이스 설정을 할수있습니다. 화면의 해상도를 높여보면 그 아래 외장장비 설정을 할수 있는 Configure External Device 라는 곳도 나옵니다.
Check for Updates - 클릭 하면 윗 사진 처럼 현재 버젼에 대한 정보가 나옵니다. 인스톨 했을당시의 버젼 최근 버젼 그리고 업데이트가 안 되어 있다면 업데이트를 실행할수 있게 해줍니다.
About Studio One - 클릭하면 윗 사진이 나오구요, 스튜디오 원 엄청큰 로고와 정보, 개발자들의 이름이 나열됩니다. 윗 사진에는 없지만 그 아래 제품 라이센스를 한 사람의 이름 제품을 등록할때 쓰는 키와 멜로다인 이센셜을 등록할때 쓰는 키가 나옵니다. 그 밑에 Studio One Website란 곳이 있고 클릭하면 스튜디오 원 홈페이지로 이동할수 있게 해줍니다.
아까 아티스트 프로필 설정 오른쪽에 보이는 SoundCloud를 클릭해주시면 포스팅 처음부분에 봤었던 구름 모양을 클릭해준것과 동일한 화면이 뜨게 되면서 사운드 클라우드에 작업한 음원을 바로 업로드 할수있는 기능을 제공 합니다.
중앙 우측을 보시면 윗 사진같은 곳이 보입니다.
News Feed - 컴퓨터가 인터넷이 연결 되어 있다면, 스튜디오 원 관련 여러가지 뉴스와 관련된 도움말, 정보등이 업데이트 되어 보여집니다.
Demos And Tutorials - 데모송과 튜토리얼 송 파일들이 업데이트 되고, 다운로드 할수 있게 해줍니다. 다운로드한 파일은 송 페이지에서 멀티트랙으로 열수 있으며 그 트랙들을 보며 작업 노하우나 팁등을 공부할수 있습니다.
화면의 가장 밑에는 윗 사진과 같이 프리소너스 로고가 보이고 현재 스튜디오 원 버젼과 윈도우 몇 비트에 설치가 되었는지, 그리고 마지막 업데이트 된 날짜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우측 상단으로 올라가보면 위의 그림과 같은 곳이 나옵니다. 이번 포스팅에 다루었던 스타트 페이지 믹싱과 작곡 에디팅을 할수 있는 송페이지, 마스터링을 할수 있는 프로젝트 페이지를 옮겨 다닐수 있게 해주는 기능으로서 여러개의 작업을 동시에 하게 해주는 편리한 곳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특정곡을 송페이지에서 믹싱을 하고 있다가 다른 곡을 프로젝트 파일에서 열고싶다고 한다면 Start를 눌러 스타트 페이지로 간후 Project를 눌러 프로젝트 페이지를 만든후 마스터링 작업을 할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그 전에 송페이지에서 작업하던게 없어지는게 아니고 바로 다시 Song을 눌러보면 목록에 작업목록이 떠서 언제든 다시 돌아갈수 있게 해주죠. 어떤 페이지 이든 우측상단에는 위의 사진과 같은 곳이 있습니다.
Song이나 ProJect 옆의 역삼각형을 클릭해주면 현재 작업하고 있는 목록 들이 쭈욱 나와서 언제든지 이동 가능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여기까지 입니다. 감사합니다~
'Studio One Gu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홈레코딩] 스튜디오 원 기초 가이드 -5- 녹음한 파일 MP3, Wav로 변환하기 (1) | 2019.03.11 |
---|---|
[홈레코딩] 스튜디오 원 기초 가이드 -7- 송 페이지(Song Page) 파일 (File) 메뉴 (0) | 2019.03.04 |
[홈레코딩] 스튜디오 원 기초 가이드 -3- 마스터 키보드 설정 (1) | 2019.02.20 |
[홈레코딩] 스튜디오 원 기초 가이드 -2- 오디오 인터페이스 설정 (2) | 2019.01.27 |
[홈레코딩] 스튜디오 원 기초 가이드 -1- 녹음 준비 (20) | 2018.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