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IX TOOLS

딜레이 (Delay) -2-

딜레이 1편에 이어서 계속 이어 가도록 하겠습니다.



두번째로 알아볼 스튜디오원의 번들 딜레이는 비트딜레이 입니다. 이 딜레이는 탬포에 동기화된 비트에 사용하기 적절하고, 스테레오적인 공간감을 주기에 유용한 딜레이 입니다.


크로스딜레이 (Cross Delay)-

크로스란 교차 시킨다는 뜻이죠. 딜레이를 교차 시킨다는 이 노브는 위드쓰(Width)노브를 핑퐁(Ping Pong)이나 스테레오로 돌려놔야 효과를 느낄수 있구요, 왼쪽이나 오른쪽의 피드백 소리를 느리게 나오게 하여 스테레오감을 더욱더 부각시킬때 사용하는 노브입니다. 왼쪽 끝까지 돌리면 왼쪽체널의 피드백이 50ms (0.05초)느리게 나오게되고, 오른쪽 끝까지 돌리면 오른쪽 체널의 피드백이 50ms (0.05초)느리게 나오게됩니다. 노브를 돌려가며 취향에 맞는 스테레오감을 만들수 있습니다.


인팬 (In Pan)-

역시 위드쓰(Width)노브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구요, 첫 번째 피드백의 패닝을 결정하는 노브입니다. 왼쪽 끝으로 돌리면 피드백이 왼쪽먼저 나오고 오른쪽 끝으로 돌리면 오른쪽 부터 나옵니다.




비츠 (Beats)-

원음이 나오고 딜레이음이 나오는 시간을 결정하는 노브로서, 첫번째 포스팅에 자세히 설명해 놨으니 참고 하시면 되겠습니다.


오프셋 (Offset)-

오프셋이란 단어는 너무 많은 곳에 쓰이기 때문에 머라고 딱 정하긴 어려우나 전기쪽에서는 소망하는 출력상태와 실제출력 상태의 편차를 말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어째튼 비트딜레이의 오프셋 노브는 피드백에 스윙 리듬을 부여한다고 설명하면 이해 하기 쉬울텐데요, 오른쪽 끝으로 돌리면 딜레이가 정상 박자보다 조금 빠른스윙을 부여합니다. 왼쪽 끝으로 돌리면 정상박자 보다 조금 느린 스윙리듬을 부여합니다. 이 노브를 이용해 더욱더 특이한 비트의 딜레이를 만들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피드백 (Feedback)-

원음이 나온후 딜레이음이 몇번 나오게 할지 결정하는 노브


위드쓰 (Width)-

딜레이음의 좌우 넓이를 관여하는 노브로서, 이 노브를 스테레오나 핑퐁으로 해놓고 맨 앞에 있는 크로스딜레이 값과 인팬의 값을 돌려 원하는 스테레오 딜레이를 만들면 됩니다.


로우컷 (Low Cut)

하이컷 (High Cut)-

딜레이음의 음질을 결정하는 노브로서 전 포스팅에 자세한 설명이 있습니다.


믹스 (Mix)-

원음과 딜레이음의 비율을 결정하는 노브. 전 포스팅때 설명한 샌드,리턴 방식으로 연결할 경우에는 100프로로 놓고 사용합니다.





스튜디오원에 번들 딜레이 마지막으로 그루브딜레이 (Groove Delay)입니다.


이 그루브딜레이는 4개의 딜레이 탭이 있어서 피드백 음들을 하나하나 조정할수 있는데 매력이 있습니다. 자기만의 패턴으로 딜레이 리듬을 만들수 있는것이죠. 유명한 Waves의 슈퍼 2탭 딜레이나 슈퍼 6탭 딜레이와 비슷한 원리라고 보시면 됩니다.





Waves의 슈퍼 2탭 딜레이



Waves의 슈퍼 6탭 딜레이




자 그럼 그루브딜레이의 노브들을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화면 왼쪽 밑을 보시면 탭을 선택하는 곳이 있는데 원하는 탭을 선택해 활성화 시키면 불이 들어오고 그 탭에 관련된 내용이 전체 화면에 나오게 됩니다. 




화면의 오른쪽 밑을 보시면 비슷하게 생긴 4가지의 기능이 보이실텐데요, 어떤걸 선택하느냐에 따라 그 기능을 조절하는 화면으로 변하게 됩니다. 




레벨 (Level)-

선택한 탭의 볼륨을 조정하는 화면으로 변합니다. 위로 올릴수록 딜레이 볼륨이 커집니다.




팬 (Pan)-

좌우 패닝을 하는 화면으로 변합니다. 



컷오프 (Cutoff)-

주파수를 컷하거나 부스트해 특이한 이펙트를 줄수 있는 기능으로서, 탭을 선택하면 밑에있는 컷오프 프리퀀시 필터가 활성화되서 더 자세한 조작을 할수있습니다.




위의 그림이 컷오프 프리퀀시 필터의 모습인데 점이 찍혀있는 곳을 좌,우,위,아래로 움직이며 조작이 가능합니다. 윗 화면의 가로축은 주파수 대역을 정해주고요, 세로축은 그 주파수으 부스트량을 0프로 부터 100프로 까지 정해줍니다. 아랫 화면의 가로축은 로우패스필터와 하이패스필터를 지정해 주고요, 세로축은 역시 그양을 조정해 줍니다. 이 두 화면을 이리저리 만져보고 오토메이션도 걸어보면서 자신만의 특이한 이펙터를 만들수 있습니다. 



스윙 (Swing)-

탭의 첫번째와 세번째의 위치를 움직여 딜레이에 스윙리듬을 만들어 냅니다. 화면에 보시면 탭의 위쪽이 첫번째와 세번째는 동그랗게 되있고, 2번째와 4번째는 네모낳게 되있는게 보이실텐데, 동그라미는 움직이는것을 네모는 고정된것을 뜻합니다.



이제 화면 아래쪽에 있는 노브들을 살펴 보겠습니다.


비츠 (Beats)-

원음이 나오고 딜레이음이 언제 나올지 결정하는 노브


그루브 (Groove)-

정해진 탭의 딜레이음에 스윙리듬을 주는 노브로서 디폴트값은 스트레이트한 정박자로 되있고, 왼쪽으로 돌리면 조금씩 앞박으로 스윙을

오른쪽으로 돌리면 조금식 뒷박으로 스윙리듬을 줍니다. 비트로 정해논 값에 세박자로 나눈(Triolic)제일 앞박부터 세박자로 나눈 (Dotted)제일 뒷박 까지 조정이 됩니다.


피드백 (Feedback)-

정해진 탭의 딜레이음이 몇번 반복 될것인가를 결정하는 노브 입니다.


레벨 (Level)-

정해진 탭의 딜레이음의 볼륨을 조정하는 노브 입니다.


팬 (Pan)-

정해진 탭의 좌우패닝을 조정하는 노브 입니다. 




그리드 (Grid)-

그리드란 격자무늬란 뜻으로서, 어떤 기준이 되는 양을 눈으로 보기 편하게 격자무늬로 나타내 줍니다. 하위 메뉴로 비트렝쓰가 있습니다.


비트렝쓰 (Beatlenth)-

비트의 길이라는 뜻으로서, 앞에 나왔던 비츠노브가 탭의 위치를 움직여 딜레이 스피드를 조절했다면 비트렝쓰는 화면의 그리드 넓이를 조정해 딜레이음의 스피드를 정합니다.



비트렝쓰를 1/4로 맞춰놓은 경우



비트랭쓰를 1/16로 맞춰놓은 경우



글로벌 (Global)-

포괄적인 이란 뜻으로서, 4가지 탭을 한꺼번에 조정할수 있는 구간입니다.


피드백 (Feedback)-

4가지 탭의 딜레이의 반복정도를 정하는 노브입니다.


컷오프 모드 (Cutoff Mod)-

컷오프 프리퀀시 필터에서 무엇인가 조정을 하였을 경우 울렁거리는 효과를 얻게 되는데 그 울러거림의 스피드를 조정하는 노브입니다. 밑의 싱크(Sync)버튼을 누르면 DAW내의 탬포와 정확히 동기화된 박자로 노브를 컨트롤 할수 있게 됩니다.


믹스 (Mix)-

원음과 딜레이음의 양을 조절하는 노브로서 왼쪽끝으로 돌리면 원음만(Dry) 오른쪽 끝으로 돌리면 딜레이음만(Wet)나오게 됩니다. 


이번 포스팅은 여기까지 입니다. 감사합니다. 






'MIX TOOL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버브 (Reverb) -2-  (0) 2018.02.09
리버브 (Reverb) -1-  (0) 2018.02.09
딜레이 (Delay) -1-  (0) 2018.01.25
스테레오 이미져 (Stereo Imager)  (0) 2018.01.23
세츄레이션 (Saturation)  (3) 2018.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