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디내리 조 입니다. 이제 작곡과 믹싱, 편집을 할수 있는 송 페이지로 (Song Page)로 들어와 명령어와 메뉴를 하나하나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첫번째로 파일 (File)메뉴를 봐 보겠습니다.
우선 스타트 페이지에서 Create a new Song을 클릭해 송 페이지로 들어 갑니다.
송 페이지의 왼쪽 상단에 명령어 메뉴들 중에 File을 눌러주면 위와 같은 리스트가 나오게 됩니다. 왼쪽은 제목 오른쪽은 단축키를 나타내 줍니다. 하나하나 보도록 하겠습니다.
New Song - 새로운 Song 파일을 생성한다.
New Project - 새로운 Project 파일을 생성한다.
Open... - 작업한 파일을 불러온다.
Close - 현재 작업중인 파일을 닫는다.
Close All - 현재 열려 있는 Song과 Project의 모든 작업파일을 닫는다.
Rename... - 현재 열려 있는 파일의 이름을 바꾼다.
Save New Version - 현재 작업중인 파일을 버전별로 저장한다.
(위의 명령어는 Save As명령어 처럼 또 다른 송파일이 생기는게 아니고 하나의 송파일에 하위버전이 들어가듯이 저장되기때문에 파일정리 를 더욱 유용하게 할수 있습니다.)
Save New Version을 클릭하면 윗 사진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Description에 다른 버전의 내용을 간단히 적고 Ok를 누르면 다른 버전의 파일이 하위로 저장되게 됩니다. Incremental version이 체크 되있다면, 현재 작업 페이지를 지금 저장하려는 버전으로 바꿔주고, 체크 되있지 않다면 현재 작업페이지를 그대로 사용하게 됩니다. 테스트로 버전2, 버전3, 버전4라는 이름으로 저장해 보겠습니다.
Restore Version - 현재 파일에 저장된 버전들을 선택해서 불러온다.
Restore Version을 클릭하면 현재 사용하고 있는 버전을 제외한 다른 버전들이 나열되게 되고, 더블클릭으로 그 버전을 불러올수 있습니다.
Save - 현재 작업파일을 저장한다.
Save As - 현재 작업파일을 다른 이름으로 저장한다.
Save As New Folder - 현재 작업파일을 새로운 폴더에 저장한다.
Save As Template - 초기화면을 개인의 기호에 맞게 세팅한다.
(이 기능은 자신이 송페이지에서 자신이 자주쓰는 트랙이나 악기가 있다면 그것들이 열려있는 상태로 새로운 송페이지를 만들어주는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 자신이 드럼트랙, 베이스트랙, 기타트랙, 보컬트랙 4가지를 자주 쓰고 각각의 트랙에 가상악기와 이펙터등을 항상 사용한다면 처음부터 4개의 트랙과 가상악기, 이펙터가 활성화된 상태로 송페이지가 만들어지는 기능입니다. )
클릭하면 위의 화면이 뜨게 되고, Title에 이름 Description에 설명 Icon에 원하는 이미지를 삽입할수 있습니다. Replace Existing...을 클릭하면 미리 만들어진 탬플릿을 불러올수 있게 되고,
OK를 눌러주시면 저장이 되고 새로운 송페이지를 만들때 위의 사진처럼 아까 저장한 이미지의 탬플릿이 목록에 뜨게 됩니다.
Revert - 가장 최근에 Save한 상태로 돌아간다. 마지막으로 Save한 후의 수정작업은 무시된다.
Recent Files - 최근 작업한 File의 리스트를 보여준다.
Quit - 스튜디오 원을 종료한다.
이번 포스팅은 여기 까지 입니다. 감사합니다~
'Studio One Gu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홈레코딩] 스튜디오 원 기초 가이드 -6- 컴퓨터 키보드 자판을 마스터 건반처럼 이용하기 (5) | 2019.03.11 |
---|---|
[홈레코딩] 스튜디오 원 기초 가이드 -5- 녹음한 파일 MP3, Wav로 변환하기 (1) | 2019.03.11 |
[홈레코딩] 스튜디오 원 기초 가이드 -4- 스타트 페이지 개요 (0) | 2019.02.21 |
[홈레코딩] 스튜디오 원 기초 가이드 -3- 마스터 키보드 설정 (1) | 2019.02.20 |
[홈레코딩] 스튜디오 원 기초 가이드 -2- 오디오 인터페이스 설정 (2) | 2019.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