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퀀서 썸네일형 리스트형 [홈레코딩] 스튜디오 원 기초 가이드 -3- 마스터 키보드 설정 안녕 하세요~ 오디내리 조 입니다. 지난 포스팅 때 오디오 인터페이스 설정에 대해 다뤄봤구요, 이번에는 마스터 키보드 및 신디사이저, 미디 컨트롤러, 음원을 탑재한 사운드 모듈 등 외장 장비를 스튜디오 원에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우선 타이틀 화면 왼쪽 상단에 있는 메뉴에서 Studio One을 선택한 후 아래로 메뉴가 쫙 나열 되면 Option으로 들어가 줍니다. 오른쪽 네번째에 있는 External Devices(외장장비)를 선택 해 줍니다. 설정된 외장 장비가 있다면 목록에 표시가 되겠지만, 저는 사용하는게 없어서 아무것도 표시가 되지 않고있습니다. 외장장비가 컴퓨터에 연결되었다면, 왼쪽하단의 Add...을 클릭해줍니다. 그러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구요, 왼쪽에 여러가지 회사이름들.. 더보기 컴프레서 (Compressor) 안녕하세요~ 오디내리 조 입니다. 믹스할때 가장 많이 쓰이는 플러그인 두번째 시간으로 컴프레서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컴프레서(Compressor)의 굉장히 직관적으로 "압축기"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무언가를 눌러서 압축하는 기계란 의미 겠지요. 이 의미처럼 음악에서의 컴프레서는 소리를 눌러 압축하는것 입니다. 즉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음의 볼륨차가 있을경우 큰 소리를 압축하여 전체적인 볼륨차를 줄여준다고 간단히 말할수 있겠습니다. 윗그림 사운드 소스를 강하게 컴프레서로 압축 하였을시 밑의 그림처럼 파형이 평평해지면서 소리가 작아지게됩니다. 하지만 컴프레서는 비단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볼륨차를 줄여주는거에 추가로, 순간의 소리에 대한 볼륨에도 영향을 줍니다. 예를 들면 어떤소스에 아주 작은 잡음이 있.. 더보기 이퀄라이져 (Equalizer) -2- 안녕하세요~ 오디내리 조 입니다. 이번엔 이큐 두번째 포스팅으로 소프트웨어 이큐 플러그인의 사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스튜디오원 이라는 DAW를 사용하고 있구요, 거기에 들어있는 번들 이큐를 이번 포스팅에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총 7개의 밴드를 지정해 사용할수 있는 이큐구요, 위 쪽에 있는 화면은 내가 조정하고 있는 이큐를 선형 그래프로 자신이 어디를 컨트롤 하는지 눈으로 확인 할수 있게 해줍니다. 화면 왼쪽에 보이는 숫자는 자신이 지정한 밴드를 부스트 (boost) 하거나 컷 (cut) 할때 내가 얼마큼 하는지 양을 보여줍니다. -18dB에서 18dB까지 조정할수 있네요 그 밑의 가로로 쭈욱 나열된 숫자들은 자신이 지정한 밴드가 위치한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 줍니다. 사람의 가청 주.. 더보기 이전 1 다음